경기도 도, 시중 판매 축산악취저감제 효과 실증시험 실시. 축산농가에 정보 제공 예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3-02-05 15:22본문
○ 경기도, 축산악취 민원 해소를 위한 ‘축산악취저감제 실증시험’ 추진
- 돈사 내 축산악취저감제 사용 및 저감효과 측정을 통한 실질적 효과 분석
경기도축산진흥센터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축산악취저감제 3종을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실증시험을 추진했다고 2일 밝혔다.
가축분뇨 악취 문제는 축산농가의 가장 큰 고민거리로 이번 실험은 축산농가에서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했다.
실험은 축산진흥센터내 돈사 내부를 일반 농장 환경과 비슷하게 조성하고 악취측정장치와 악취저감제 분무가 가능한 안개분무시설 장치로 구성된 축산악취저감제 실증시험 장비를 설치했다. 동일 조건의 돈사 4개 구역에 악취센서감지를 통한 악취발생량을 측정해 저감제를 살포하거나 일정시간 분무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악취저감제는 산업용탈취제와 미생물제 두 종류를 사용하였고, 악취저감제 분무 전·후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복합가스의 농도 측정을 통한 저감효과 비교와 암모니아 저감효과 지속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산업용탈취제와 미생물제의 악취저감제 제품 모두 황화수소와 복합가스의 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암모니아 저감효과에 대해서는 산업용탈취제 제품이 미생물제 제품에 비교 우위를 보였으나 저감효과 지속력은 미생물제 제품이 산업용탈취제 제품보다 더 좋은 지속력을 보여줬다.
이강영 축산진흥센터 소장은 “악취 문제는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친환경 축산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라며 “이번 실증시험은 실제 일반 농장과 유사한 조건의 돈사 내에서 측정한 결과인 만큼 악취저감제의 실질적 효과를 분석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도는 올해 6개의 제품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여 실증시험 결과를 협회 등에 제공하고, 축산농가가 필요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이전글경기도 공익활동지원센터, 공익활동단체에 최대 700만원 지원. 참여단체 공모 23.02.05
- 다음글경기도 외국인 인권지원센터, 상담활동가 서포터즈 20명 위촉. 상담사례 발굴 23.02.05
-
[경기도]
오병권 행정1부지사,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N새글" alt="" >
-
[성남시]
신상진 성남시장, “고도제한 완전 해결 위해 원도심과 … N새글" alt="" >
-
[경기도]
경기도, ‘제12회 수산인의 날’ 맞아 민관합동 궁평항… N새글" alt="" >
-
[경기도]
경기도-고양·김포·파주시와 일산대교 무료화 공동추진단 … N새글" alt="" >
-
[경기도]
경기농촌융복합지원센터, 수원메가쇼 2023 시즌1 참가… N새글" alt="" >
-
[경기도]
경기도 농기원, 에케베리아 ‘네온크라운’ 등 신품종 4… N새글" alt="" >
도정/시정
포토갤러리